#04. 역사 - 한국
<한국근현대사 - 근현대사 연표정리>
■ 흥선대원군의 정치
구분 |
목표 |
내용 |
한계 |
국내정치 |
왕권 강화, 민생안정 |
세도정치 타파, 비변사 축소, 의정부 부활, 경복궁 중건, 호포법&사창제 실시, 서원정리 |
전통 체제 내에서의 개혁 |
대외정책 |
통상수교 거부정책 |
병인양요, 신미양요, 척화비 건립 |
근대화 지연 |
■ 개항과 강화도 조약
개항의 배경 |
자율적 측면 : 통상개화론의 대두 ← 박규수(양반), 오경석(역관), 유홍기(의관) 타율적 측면 : 함포외교(운요호사건)를 통한 일본의 압력 |
강화도 조약 |
성격 : 최초의 근대적 조약, 문호 개방, 불평등 조약 내용 : 청의 간섭 배제, 불평등조약(치외법권, 해안측량권 인정), 일본의 정치적ㆍ군사 거점 마련(삼포개항) 통상장정 체결 : 곡식의 무제한 유출, 비관세무역 → 일본의 경제적 침략의 발판 구축 |
■ 개화와 척사
구분 |
개화운동 |
위정척사운동 |
사상 |
국내 : 실학(북학파) → 통상개화론 → 개화사상 국외 : 양무운동(청), 메이지유신(일본) |
성리학(正學)을 수호, 사학(서양 문물)과 이단 배격 |
전개 |
통리기무아문 설치, 별기군 창설, 조사시찰단(일), 영선사(청) 파견 |
통상반대, 척화부전론(1860년대) → 왜양일체론, 개항불가론(1870년대) → 개화반대운동(1880년대), 조선책략 반대 → 항일 의병 운동(1890년대) |
의의 |
봉건 사회 철폐 → 근대적 민족 국가 수립 지향 |
반외세 자주운동 전개 → 항일 의병 운동으로 계승 |
한계 |
민중과 유리 |
봉건 체제 유지 주장 → 근대화에 역기능 |
■ 개화파의 형성
구분 |
온건개화파(수구당, 사대당) |
급진개화파(개화당, 독립당) |
중심인물 |
깅홍집, 김윤식(민씨정권과 결탁) |
김옥균, 박영효, 홍영식, 서광범(소장파 관료) |
정치입장 |
친청 사대 정책 |
정부의 사대정책과 청의 간섭 배제 |
개혁방안 |
동도서기론에 입가가하여 점진적 개혁 추구 |
정치, 사회제도 개혁 등 급진적 개혁 추진 |
개혁모델 |
청의 양무운동(중체서용론) |
일본의 메이지 유신(문명 개화론) |
■ 갑신정변과 갑오ㆍ을미 개혁
구분 |
갑신정변 |
갑오ㆍ을미개혁 |
배경 경과 |
배경 : 민씨정권의 친청 사대정책과 개화당에 대한 탄압 경과 : 우정국 개국 축하연 때 정변 단행 → 개화당 정부 수립(14개조정강) → 청군 개입으로 3일 천하로 마침 |
배경 : 동학농민군과 일본의 내정 개혁 요구 → 교정청 경과 : 1차 개혁(군국기무처) → 2차 개혁(홍범14조) → 을미개혁(단발령) |
내용 |
정치 : 대청 사대 외교 폐지, 입헌군주제로의 개혁 경제 : 지조법개혁, 재정일원화(호조) → 근대적 조세체제 사회 : 문벌 폐지, 인민 평등권 → 봉건적 신분제 개혁 |
정치 : 개국연호, 왕의 전제권 제한, 과거제 폐지, 사법과 행정 분리 경제 : 재정일원화(탁지아문), 은본위 화폐제도, 조세 금납화, 도량형 통일 사회 : 신분제 철폐, 조혼금지, 과부 재가 허용, 고문과 연좌법 폐지 |
의의 |
근대적 국민 국가 수립을 위한 최초의 정치 개혁 운동 갑오개혁ㆍ독립협회 활동ㆍ애국계몽운동으로 승계 |
개화세력과 동학농민층의 요구 반영, 조선의 개화파 관료들에 의해 자주적으로 추진된 봉건적 질서를 타파하는 근대적 개혁 |
한계 |
군사력 강화와 토지 개혁 소홀, 일본에 의존적 |
일제가 침략을 위해 강요한 개혁 민중과 유리된 개혁 결과 |
결과 |
개화세력의 도태, 청의 내정과 외교간섭 강화(고문정치) 일본과 한성 조약 체결, 청일의 텐진조약 |
을미의병 봉기와 아관파천으로 개혁 중단 군사 : 일본의 방해로 성과 없음 |
■ 동학 농민운동
배경 |
지배층의 수탈과 일본의 경제적 침투, 농촌 경제의 파탄, 동학의 교세 확장 |
전개 |
교조신원운동(삼례집회, 복합상소,보은집회) → 1차봉기(전주성 점령, 전주화략) → 집강소 설치(폐정개혁안 실천) → 2차 봉기(항일구국투쟁) |
의의 |
농민전쟁 : 동학의 평등사상과 포접제 조직 → 우리 나라 역사에서 가장 규모가 큰 농민운동(조직적 농민운동) 반봉건운동(제폭구민) : 노비문서 소각, 토지의 평균 분작 등 → 갑오개혁에 영향 반외세운동(보국안민) : 왜와 통한 자 엄징 → 잔여세력이 의병운동에 가담 |
한계 |
근대국가 건설을 위한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였고, 농민층 이외의 보다 넓은지지 기반을 확보하지 못함 |
■ 독립협회운동과 대한제국의 광무개혁
구분 |
독립협회운동 |
광무개혁 |
배경 |
러ㆍ일의 세력 균형 → 아관파천으로 나라의 권위 실추 |
고종의 환궁 → 칭제건원(국호를 대한제국, 연호는 광무) |
내용 |
자주국권운동 : 근대적 민족주의 사상, 열강의 침투 반대 자유민권운동 : 근대적 민주주의 사상, 국민 기본권 보장 관민공동회(헌의6조), 의회식 중추원 마련, 만민공동회 자강혁신운동 : 국력 배양의 근대화 사상 |
정치 : 대한국 국제 반포(1899) → 전제황권 강화 표방 경제 : 토지조사사업 실시(양지아문, 지계 발급), 황실 중심의 상공업 진흥책 (근대적 공장, 회사, 실업교육 기관 설립, 유학생 파견) |
의의 |
민중을 바탕한 국권수호, 민권신장에 기여한 근대화 운동 |
구본신참(복고주의, 점진적 개혁) → 근대적 시설 확충 |
한계 |
외세 배척운동이 주로 러시아를 대상(친미, 친영) |
집권층의 보수적 성향과 일본의 간섭으로 큰 성과 없음 |
■ 항일의병투쟁과 애국계몽운동
구분 |
항일의병투쟁 |
애국계몽운동 |
성격 |
위정척사운동 계승, 동학농민운동의 반외세 운동의 영향 |
개화자강계열운동 계승(갑신정변, 독립협회운동) |
주도세력 |
유생, 전직 관료 → 을사의병 이후 평민 출신 활약 |
개화 지식인 |
운동방식 |
무장 투쟁 |
실력 양성(교육과 산업 진흥, 독립운동 기지 건설) |
전개 |
을미의병 : 을사사변과 단발령 계기 평민의병 → 활빈당 활동 을사의병 : 을사조약 반대, 평민의병장 활약 정미의병 : 군대 해산 이후 의병전쟁으로 발전 서울진공작전 |
대한자강회 : 교육과 산업의 진흥, 대한협회로 계승 신민회 : 국권 회복과 공화국 건설 목표, 국외 독립운동기지 건설 추진 (독립운동의 장기적 기반 마련) |
의의 |
민족의 강한 독립 정신 표출 무장 독립 투쟁의 기반 마련 |
애국심과 근대의식 고취, 민족운동의 올바른 이념 제시 |
■ 열강의 경제 침탈과 경제적 구국 운동
열강의 경제 침탈 |
경제적 구국운동 |
개항 초기 일본 상인의 거류지 무역, 약탈ㆍ중개무역 → 임오군란 이후 일본상인과 청 상인 경쟁 → 청ㆍ일전쟁 이후 일본의 조선 무역 독점 제국주의 열강의 이권 침탈 (아관파천 이후 심화, 철도ㆍ광산ㆍ산림) 일본의 토지 약탈과 금융 지배(화폐정리사업) 차관 제공(일본의 경제적 예속화 정책) |
방곡령 시행 : 일본상인의 지나친 곡물 수매에 대항 → 절차상의 문제로 철회, 배상금 지급
독립협회의 이권수호운동(자주국권운동)
보안회의 황무지 개간권 반대 운동 국채보상운동(애국계몽단체의 모금 운동) |
■ 근대 문물의 수용
근대시설 |
언론 |
근대교육 |
국학 |
문예와 종교 |
철도, 전신은 외세 침략과 결부 |
한성순보(최초 신문) 독립신문(최초 일간지) 황성신문(장지연-구본신참) 제국신문(순한글) 대한매일신보(국채보상운동) |
개화운동 일환 → 애국계몽운동(근대학문교육, 민족의식 고취) |
국사(신채호, 박은식) 위인전, 국가흥망사 국어(주시경, 지석영) |
신소설, 신체시, 창가, 신극(원각사) 박은식(유교구신론) 한용운(조선불교유신론) |
■ 일제의 침략과 민족의 수난
시기구분 |
통치내용 |
경제수탈 |
식민지화 과정 (1904-1910) |
ㆍ러일전쟁 → 한일의정서(군사기지 사용권) → 1차 한일협약(고문정치) → 을사조약(외교권 피탈, 통감정치) → 정미 7조약(차관 정치, 군대 해산) → 기유약조(경찰, 사법권 박탈) → 경술국치(1910.8.29) ㆍ일제의 한국 지배권 인정 : 가쓰라ㆍ테프트밀약(일ㆍ미), 2차영일동맹, 포츠머스강화조약(러ㆍ일) | |
헌병경찰통치 (1910년대) |
ㆍ헌경경찰제, 태형제도, 105인사건 ㆍ언론ㆍ출판ㆍ집회ㆍ결사의 자유 박탈 ㆍ교원도 제복을 입고 칼을 착용 |
ㆍ회사령(허가제), 임업ㆍ광업ㆍ어업 등 산업 침탈 ㆍ토지조사사업 → 농민의 토지 강탈 → 기한부 계약 소작농화, 화전민, 노동자, 도시 빈민, 국외 이주 |
기만적 문화통치 (1920년대) |
ㆍ본질 : 친일파 양성을 통한 민족 분열책 ㆍ헌병경찰 → 보통경찰(4배) ㆍ문관총독 임명 가능(실제 임명 안됨) ㆍ한글신문 발행 허용(철저한 사전 검열 제도) |
ㆍ산미증산계획(증산량보다 많은 수탈량) ㆍ이중적 수탈(미곡+증산 비용) → 빈곤층 증가 ㆍ식량사정 악화 → 만주에서 잡곡 수입 |
민족말살통치 (1931-1945) |
ㆍ한국인을 침략전쟁에 동원 위해 황국신민화 강요 ㆍ한국어 사용, 한국사 교육 금지 ㆍ황국신민 서사 암송, 신사 참배 강요 ㆍ내선 일체 강조, 일본식 성명 강요 |
ㆍ대공황 극복을 위한 만주 침략 → 병참기지화 →1930년대 말 이후 전쟁 확대되면서 수탈 강화 ㆍ식량배급제, 전쟁 물자 공출 ㆍ징병ㆍ징용제, 정신대, 군대위안부 |
■3ㆍ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
주제 |
주요개념 |
주용내용 |
3ㆍ1운동이전의 민족운동(1910년대) |
국내항일비밀결사 |
ㆍ대한광복회(공화정, 군자금 모금), 독립의군부(복벽주의,의병), 송죽회(여성) |
국외독립운동기지 |
ㆍ대표적 기지 : 북간도(전체가 독립군 기지화), 삼원보, 한흥동, 신한촌 ㆍ민족학교 : 신흥학교(삼원보), 서전서숙ㆍ명동학교(북간도) ㆍ대한광복군정부 : 권업회 주도(1914), 임시정부 탄생의 실마리 | |
3ㆍ1운동 |
배경 |
ㆍ민족자결주의, 일본유학생의 2ㆍ8독립선언, 종교계를 중심으로 거족적 민족운동 준비 |
전개 |
ㆍ독립선언 → 도시로 확대(비폭력) → 농촌으로 확대(폭력적) → 국외로 확대 | |
의의ㆍ영향 |
ㆍ독립운동의 분수령, 민주공화제의 임시정부 탄생 계기 ㆍ중국의 5ㆍ4운동과 인도등 아시아 약소 민족해방운동에 영향 | |
대한민국임시정부 |
수립 |
ㆍ최초의 민주공화제, 여러 지역의 임시정부 통합(상하이) |
초기활동 |
ㆍ군자금 모집 : 연통제ㆍ교통국(비밀행정조직), 애국공채, 이륭양행, 백산상회 ㆍ외교활동 : 파리강화회의에 대표(김규식) 파견, 이승만의 구미위원부 ㆍ문화활동 : 독립신문 간행, 사료 편찬소 | |
분열 |
ㆍ무장투쟁론과 외교독립론의 갈등 → 국민대표회의 결렬 → 임시정부 침체 | |
6ㆍ10만세운동과 광주항일학생운동 |
6ㆍ10만세운동 |
ㆍ순종 인산일에 전개, 민족주의와 사회주의의 갈등 극복 계기, 동맹휴학 활성화 |
광주항일학생운동 |
ㆍ학생과 시민이 참여하여 전국적으로 전개, 3ㆍ1운동 이후 최대의 민족운동 |
■ 무장 독립운동의 전개
주제 |
주요내용 | |
의열투쟁 |
의열단 |
ㆍ박재혁(부산경찰서), 최수봉(밀양경찰서), 김익상(조선총독부), 김상옥(종로경찰서), 김지섭(일본 궁성), 나석주(동양척식주식회사) ㆍ조선혁명선언(신채호) : 의열단의 투쟁목표 제시, 민중 직접 혁명 자치론, 문화운론, 외교론, 준비론 비판 |
한인애국단 |
ㆍ이봉창(일본국왕 저격미수), 윤봉길(상하이 홍커우공원 의거, 침체된 임시정부의 활로 모색, 중국 국민당 정부의 임시 정부 지원 계기) | |
국내무장독립투쟁 |
3ㆍ1운동 직후 조직, 천마산대(평북), 보합단(평북), 구월산대(황해도) |
■ 일제의 침략과 민족의 수난
주제 |
주요내용 |
1920년대 독립전쟁 |
ㆍ배경 : 1910년대 만주ㆍ연해주에 독립군기지 건설, 3ㆍ1운동 이후 조직적 무장투쟁 필요성 절감 ㆍ(승리)봉오동전투(홍범도, 대한독립군), 청산리전투(김좌진,북로군정서) → (고난)간도참변, 자유시참변 → (재정비)3부의 성립(참의부, 정의부, 신민부 → 만주지역 동포 사회의 실질적 정부 역할) ㆍ3부 통합운동 : 혁신의회(→한국독립당), 국민부(→조선혁명당) |
1930년대 독립전쟁 일제의 만주침략에 맞선 한ㆍ중 연합군 결성 |
ㆍ조선혁명군(양세봉) - 영릉가전투ㆍ흥경성전투, 한국독립군(지청천) - 쌍성보전투ㆍ대전자령전투 ㆍ만주지역 항일 유격대 활동 : 동북항일연군(보천보전투,1937), 조선광복회 결성 ㆍ중국 관내 : 조선민족혁명당(1935,난징), 조선의용대(→조선의용대 화북지대의 호가장전투,1941) |
1940년대 독립전쟁 대한민국임시정부와 한국광복군 |
ㆍ좌ㆍ우 통합 임시정부 탄생 : 조선민족혁명당 인사들의 임시정부 참여, 조선의용대 지도부의 광복군 합류 ㆍ한국광복군 창설(충칭,1940) → 대일선전포고(1941) → 인도, 미얀마 전선 파견 → 국내진공작전 ㆍ조선독립동맹(김두봉)과 조선의용군 : 중국공산당과 화북지방을 중심으로 활동 |
■ 사회ㆍ경제적 민족운동
주제 |
주요개념 |
주요내용 |
사회적 민족운동 |
사회주의의 수용 |
ㆍ3ㆍ1운동 이후 수용 → 청년ㆍ학생운동, 노동운동, 농민운동의 활성화에 기여 ㆍ무산계급의 해방을 주장하여 민족주의 운동과 갈등 초래 |
민족유일당운동 (신간회) |
ㆍ비타협적 민족주의계+사회주의계 → 신간회 창립(자치론 등 기회주의 배격) ㆍ전국에 지회 설치, 대중적 정치운동 전개 → 일제의 탄압, 사회주의계 이탈로 해산 | |
실력양성운동 (민족의 근대적 역량 배양 노력) |
ㆍ신교육 운동 : 민립대학 설립운동, 사립학교, 야학, 개량 서당 설립 ㆍ민족자본 육성 : 민족기업 설립, 물산장려운동(국산품 애용) ㆍ생ㅎ뢀 개선, 구습 타파 : 문맹퇴치, 농촌계몽운동(브나로드운동, 문자보급운동) | |
농민ㆍ노동운동 |
소작쟁의 |
ㆍ농민의 생존권 투쟁 → 항일 민족 운동으로 변화, 암태도와 재령의 동양척식주식회사 농장 소작쟁의 |
노동쟁의 |
ㆍ노동자들의 생존권 투쟁(합법투쟁) → 반제국주의 항일 민족 운동(지하조직화), 원산노동자총파업(1929) | |
국외 이주 동포의 활동 |
ㆍ만주 : 항일 민족 운동의 거점, 간도참변(1920) ㆍ연해주 : 13도 의군(1910), 권업회(1911), 대한광복군정부(1914), 한인동포 중앙아시아 강제 이주(1937) ㆍ일본 : 2ㆍ8독립선언, 관동대지진 때 한국인 학살(1923), 1930년대 이후 노동 이주, 징용으로 끌려감 ㆍ미주 ; 대한인 국민회(1910) → 독립자금 모금 |
■ 민족 문화 수호 운동
주제 |
주요개념 |
주요내용 |
식민지문화정책 |
황국신민화교육 |
ㆍ일제에 순응하는 노예적 국민 양성, 초등교육ㆍ초보적 실업교육 중점, 고등교육 기피 |
식민사관 |
ㆍ일제의 침략과 식민지배 합리화, 타율성론ㆍ정체성론 날조, 일선동조론, 조선사 편수회 | |
종교탄압 |
ㆍ천도교ㆍ대종교 크게 탄압, 불교 탄압(사찰령), 개신교 탄압(안악사건, 105인 사건) | |
국학운동 |
한글연구 |
ㆍ조선어 연구회 → 조선어학회 - 한글날 제정, 우리말 큰사전 편찬 준비, 조선어학회 사건 |
국사연구 (민족사관) |
ㆍ민족주의 사관 : 민족사의 자주성ㆍ주체성 강조 - 박은식(조선혼), 신채(낭가사상), 정인보(얼) ㆍ실증사관(진단학회), 사회ㆍ경제사관(백남운,유물사관에 바탕) | |
교육ㆍ종교활동 |
민족교육 |
ㆍ식민지 교육에 저항(사립학교, 개량서당,야학 설립), 조선교육회(민립대학 설립운동) |
종교활동 |
ㆍ천도교(3ㆍ1운동에 중추적 역할), 대종교(중광단→북로군정서), 원불교(개간사업,저축운동) ㆍ개신교(신사참배 거부), 천주교(의민단), 불교((한용운, 불교정화운동) | |
문화ㆍ예술활동 |
문학 |
ㆍ계몽문학(1910년대) → 사실주의,신경향(20년대) → 순수문학(30년대) → 암흑기(40년대) ㆍ저항문학(한용운, 이육사, 윤동주) ↔ 친일문학(이광수,최남선 등 많은 문인이 변절) |
예술 |
ㆍ영화(나운규의 아리랑), 연극(토월회, 극예술연구회), 음악(안익태, 홍난파), 미술(이중섭, 안중식) |
■ 광복 진전의 건국준비 활동
구분 |
대한민국임시정부 |
조선독립동맹 |
조선건국동맹 |
활동 |
한국독립당(민족주의계열) 중심 → 조선민족혁명당 인사 참여 (사회주의 계열) → 조선독립동맹과 통합 시도 |
1942년 중국화북지방에서 김두봉을 주석으로 결성(사회주의 계열) → 조선의용군을 두어 중국공산당과 항일 투쟁 전개 |
1944년 8월 여운형 등이 조직 (민족주의자와 사회주의가 함께 참여) |
건국 구상 |
조소앙의 삼균주의를 기초로 건국강령(1941) → 정치적 균등(보통선거), 경제적 균등(토지와 대생산 기관 국유화), 교육적 생산(의무교육) |
보통선거에 의한 민주정권 수립, 일제의 자산과 토지 몰수, 8시간 노동제, 의무ㆍ무상교육 |
일제의 타도, 민주주의 원칙에 의거하여 노동자ㆍ농민 해방에 치중 |
공통점 |
민족주의 게열과 사회주의 계열의 독립운동가 모두 민주주의 국가 건설 추구 |
■ 8ㆍ15 광복과 대한민국의 수립
구분 |
남부지역 |
북부지역 | |
정치 |
경제 | ||
1945 |
조선건국준비위원회 (→조선인민공화국 선포), 미군 군정 실시 (인민공화국과 임시정부 불인정) 모스크바 3국 외상회의 - 신탁통치 결정 |
ㆍ미 군정청의 친일 관료ㆍ경찰 등용, 영어 공용화 → 친일파 청산 실패, 미국 문물 유입 ㆍ일본인의 철수, 북한의 전력 공급 중단, 해외 동포들의 귀국, 화폐 초과 발행 → 경제 혼란 ㆍ미 군정청 공산당 탄압(→공산당 반발), 노동자파업, 농민시위 → 사회 혼란 |
각지에 건국 준비 조직 결성 → 소련군의 지시에 따라 좌ㆍ우 합작의 인민위원회로 개편 |
1946 |
제1차 미소공동위원회 결렬 → 이승만의 정읍 발언 → 좌ㆍ우합작위원회(여운형,김규식) |
북조선 임시인민 위원회 구성 (중앙 행정 기구) → 토지개혁, 산업국유화, 남녀 평등법 | |
1947 |
제2차 미소공동위원회 결렬과 여운형 암살 → 미국이 한국문제를 유엔총회에 상정 |
북조선 인민위원회 수립(사실상의 정부) | |
1948 |
김구ㆍ김규식의 남북 협상 제의 → 제주 4ㆍ3사건 → 5ㆍ10 총선거 → 대한민국 수립 선포(8ㆍ15) |
조선 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수립(9.9), 남로당과 북로당이 조선노동당으로 통합 |
■ 이승만 정부와 4ㆍ19 혁명
구분 |
정치 |
경제ㆍ사회ㆍ문화 |
남북관계 |
반민특위와 농지개혁 |
제헌국회의 반민족 행위 처벌법 제정(48) →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위원회의 친일파 체포 → 이승만 정부의 방해 공작과 친일파의 방해로 좌절(49) → 친일파 청산이라는 민족적 과제 해결 실패 |
ㆍ농지개혁 : 광복후의 가장 중요한 과제 → 북한의 토지개혁 → 농지개혁법 제정(1949) → 유상매수, 유상분배 원칙 |
북한의 남침 준비 (소련과 중국의 원조) |
6ㆍ25전쟁 |
ㆍ배경 : 중국공산화, 주한미군 철수, 미국 애치슨선언 ㆍ전개 : 북한 남침 → 유엔군 참전 → 인천상륙작전 → 중국국 개입 → 휴전 협상(이승만 반대) → 협정 체결(1953.7.27) ㆍ피해 : 약500만명의 사상자, 사업시설 파괴 |
ㆍ사회 변동 : 수백만의 월남, 농촌인구의 도시 이동 → 전통적 사회 구조 붕괴 ㆍ서구 대중 문화의 무분별한 유입 → 전통문화 경시 풍조 |
미ㆍ소의 냉젅 격화, 남북간의 적대감 심화, 남북한에서 독재 강화 |
이승만정부의 독재화 |
ㆍ발췌개헌(1952) : 이승만 정부 실정 → 국민 지지 상실 → 군ㆍ경과 폭력단을 동원한 대통령 직선제 개헌 통과 ㆍ사사오입 개헌(1954) : 장기집권을 위해 3선 금지 조항 폐지 개헌 편법 통과 ㆍ독재 강화 : 장면 피습, 진보당 조봉암 처형 |
ㆍ전후 복구 : 국민과 정부의 노력, 미국의 원조(면화, 밀가루 등 소비재산업 원료) → 삼백산업 발달 ㆍ미국의 경제 원조의 영향 :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, 농업기반 파괴 |
북진통일론(이승만) ↔ 미군 철수를 전제로한 남북한 총선거(김일성) |
4ㆍ19혁명 (1960) |
ㆍ배경 : 미국의 경제 원조 축소로 경기 침체, 3ㆍ15 부정 선거 ㆍ경과 : 마산시위(김주열 시신 발견) → 시위 확산 → 경찰 발포 → 교수단 시위 → 이승만 하야 ㆍ의의 : 학생과 시민들의 힘으로 이룬 아시아 최초의 민주혁명 |
북한의 연방제 통일 방안 제시 | |
장면내각 |
허정 내각 정부의 내각 책임제 개헌 → 장면을 총리로 하는 민주당 내각 성립(1960) → 당내의 세력 다툼으로 분열 → 5ㆍ16군사 정변으로 붕괴 |
경제개발 5개년 계획 수립 → 5ㆍ16 군사정변으로 실행 못함 |
유엔 감시하의 남북한 총선거 제의 (대화에는 소극적) |
■ 5ㆍ16 군사정변과 유신 체제
구분 |
정치 |
경제ㆍ사회ㆍ문화 |
남북관계 |
5ㆍ16군사정변 |
ㆍ발생 : 박정희 등이 국가 재건회의를 구성하여 군정 실시 ㆍ경과 : 대통령제ㆍ단원제 헌법 제정 → 박정희 당선 |
ㆍ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발표(1962) |
반공을 국시로 함 |
박정희정부의 수립 |
ㆍ한ㆍ일 국교 정상화(1965) : 미국의 수교 요구, 경제 개발에 필요한 자금 확보를 위해 추진 → 6ㆍ3 사태 ㆍ베트남 파병 (65-73) : 미국의 경제 군사 원조 ㆍ3선 개헌 : 재선 후 장기 집권을 위한 포석 |
ㆍ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(경제제일주의 정책) → 경공업 중심의 수출 주도형 성장 전력 → 빈부 격차, 외채 급증, 대외 의존 심화 |
ㆍ멸공ㆍ승공 통일 주장 |
유신체제 (1972-1979) |
ㆍ배경 : 냉전체제 완화, 경제 불황으로 국민불안 고조 ㆍ유신헌법 : 대통령의 중임 제한 폐지, 대통령이 국회의원 1/3 임명, 국회해산권과 법관 인사권 장악, 긴급조치권 ㆍ붕괴 : 국민의 저항에 탄압 → 부ㆍ마항쟁 → 10ㆍ26 |
ㆍ3ㆍ4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: 재벌중심으로 수출 주도형 중화학 공업 육성 → 산업 구조 고도화 |
ㆍ7ㆍ4남북공동성명 (1972) ㆍ평화통일 3대 기본원칙(1974) |
■ 민주주의의 시련과 발전
구분 |
정치 |
경제ㆍ사회ㆍ문화 |
남북관계 |
5ㆍ18민주화 운동(1980) |
ㆍ배경 : 전두환, 노태우 등의 신군부 세력이 일부 병력을 동원하여 군권 장악(79.12.12) → 서울의 봄(80.5) → 신군부의 계엄령 전국 확대 실시(80.5.17), 정치활동 금지 및 민주화 운동 무력 진압 ㆍ전개 : 광주에서 민주화 시위 전개(5.18) → 계엄군의 발포 → 시민군의 광주 장악 → 게엄군의 무력 진압(5.27) ㆍ의의 : 1980년대에 전개된 민주화 운동의 바탕이 됨 | ||
전두환정부 (1981-1988) |
ㆍ성립 : 신군부가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(국보위) 구성하여 정권 장악 → 언론 통폐합, 삼청교육대 → 간선제 헌법 제정 → 전두환 대통령 선출(81) ㆍ강압정치 : 민주화 운동과 야당 탄압, 언론 통제(보도지침) |
중화학 공업에 대한 과잉 투자와 제2차 석유 파동(78) → 경제위기 → 저유가, 저금리, 저달러의 3저 호황(80년대 중반) |
ㆍ남한 : 민족화합 민주통일 방안(1982) ㆍ북한 : 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 방안 (1980) |
6월민주항쟁 (1987) |
ㆍ배경 : 정통성과 도덕성을 상실한 전두환 정부에 대한 국민 저항 → 민주화운동 전개 → 야당ㆍ재야 직선제 개헌운동 ㆍ전개 : 박종철 고문 치사사건 → 4ㆍ13호헌 → 호헌철폐운동 → 범국민적 반독재 민주화운동으로 발전 → 6ㆍ29선언 ㆍ의의 : 4ㆍ19 혁명 이후 가장 규모가 큰 민주화 운동 | ||
노태우정부 (1988-1993) |
ㆍ성립 : 야당 후보 분열로 당선, 북방정책(소련ㆍ중국과 수교) ㆍ여소야대의 국회 : 최초로 야당이 다수당이 됨 → 3당 합당으로 거대 여당인 민주자유당 출현 |
80년대 후반 3저 호황이 끝나면서 경기 불황, 6월 민주항쟁 이후 노동운동 확산 |
ㆍ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(1991) ㆍ남북 기본 합의서(1991) |
김영삼정부 (1993-1998) |
ㆍ성립 : 여당인 민주자유당의 김영삼 후보 당선 ㆍ개혁정책 : 금융실명제, 지방자치제 전면 실시, 역사 바로세우기(전두환ㆍ노태우 구속, 옛 조선총독부청사 철거) ㆍ외환 위기 : 국제 통화기금(IMF)의 구제 금융 |
경제협력개발기구(OECD) 가입 → 무역적자, 금융기관 부실, 재벌의 방만한 기업 운영 → 외환 위기 |
ㆍ한민족공동체 건설을 위한 3단계 통일방안(1993) ㆍ남북정상회담 개최 합의(1994) |
김대중정부 (1998-2003) |
ㆍ성립 : 야당후보인 김대중 후보 당선 → 최초의 평화적 정권 교체 ㆍ정책 : 대북 화해 협력 정책 |
신자유주의 정책을 바탕으로 구조 조정 → 외환 위기 극복 |
남북정상회담 (2000. 6ㆍ15 남북공동선언) |
■ 6ㆍ25 전쟁 이후의 북한의 변화
구분 |
정치 |
경제ㆍ사회ㆍ문화 |
김일성 유일 체제의 구축 |
ㆍ독재강화 : 남로당 출신의 국내파 제거 → 연안파와 소련파 제거 ㆍ유일지배체제의 구축 : 주체사상의 유일사상화 → 사회주의 헌법을 계승하여 김일성 독재 제도화(1972) |
ㆍ전후 복구와 사회주의 경제 건설(50-60년대) : 중공업 우선 정책 → 협동농장화, 천리마운동 ㆍ경제적 위기(70-90년대) : 자본부족과 기술 낙후, 철저한 계획경제와 지나친 자립 정책, 군사비 부담 ㆍ경제개방정책 : 80년대 말부터 경제위기와 식량난 극복을 위해 제한적 경제 개방 정책 실시 → 경제특구 설치, 경제 외교 본격화, 금강산 관광 |
김정일의 권력 승계 (1994) |
ㆍ김정일 후계 체제 : 권력강화(70년대) → 권력의 세습 추진(80년대) → 김일성 사후 권력 승계(1994) → 국제적 고립 탈피와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미ㆍ일ㆍ남한과의 관계 개선 시도 → 내부적으로 ‘우리식 사회주의’를 내세워 단합 도모 |
■ 흥선대원군의 정치
구분 |
목표 |
내용 |
한계 |
국내정치 |
왕권 강화, 민생안정 |
세도정치 타파, 비변사 축소, 의정부 부활, 경복궁 중건, 호포법&사창제 실시, 서원정리 |
전통 체제 내에서의 개혁 |
대외정책 |
통상수교 거부정책 |
병인양요, 신미양요, 척화비 건립 |
근대화 지연 |
■ 개항과 강화도 조약
개항의 배경 |
자율적 측면 : 통상개화론의 대두 ← 박규수(양반), 오경석(역관), 유홍기(의관) 타율적 측면 : 함포외교(운요호사건)를 통한 일본의 압력 |
강화도 조약 |
성격 : 최초의 근대적 조약, 문호 개방, 불평등 조약 내용 : 청의 간섭 배제, 불평등조약(치외법권, 해안측량권 인정), 일본의 정치적ㆍ군사 거점 마련(삼포개항) 통상장정 체결 : 곡식의 무제한 유출, 비관세무역 → 일본의 경제적 침략의 발판 구축 |
■ 개화와 척사
구분 |
개화운동 |
위정척사운동 |
사상 |
국내 : 실학(북학파) → 통상개화론 → 개화사상 국외 : 양무운동(청), 메이지유신(일본) |
성리학(正學)을 수호, 사학(서양 문물)과 이단 배격 |
전개 |
통리기무아문 설치, 별기군 창설, 조사시찰단(일), 영선사(청) 파견 |
통상반대, 척화부전론(1860년대) → 왜양일체론, 개항불가론(1870년대) → 개화반대운동(1880년대), 조선책략 반대 → 항일 의병 운동(1890년대) |
의의 |
봉건 사회 철폐 → 근대적 민족 국가 수립 지향 |
반외세 자주운동 전개 → 항일 의병 운동으로 계승 |
한계 |
민중과 유리 |
봉건 체제 유지 주장 → 근대화에 역기능 |
■ 개화파의 형성
구분 |
온건개화파(수구당, 사대당) |
급진개화파(개화당, 독립당) |
중심인물 |
깅홍집, 김윤식(민씨정권과 결탁) |
김옥균, 박영효, 홍영식, 서광범(소장파 관료) |
정치입장 |
친청 사대 정책 |
정부의 사대정책과 청의 간섭 배제 |
개혁방안 |
동도서기론에 입가가하여 점진적 개혁 추구 |
정치, 사회제도 개혁 등 급진적 개혁 추진 |
개혁모델 |
청의 양무운동(중체서용론) |
일본의 메이지 유신(문명 개화론) |
■ 갑신정변과 갑오ㆍ을미 개혁
구분 |
갑신정변 |
갑오ㆍ을미개혁 |
배경 경과 |
배경 : 민씨정권의 친청 사대정책과 개화당에 대한 탄압 경과 : 우정국 개국 축하연 때 정변 단행 → 개화당 정부 수립(14개조정강) → 청군 개입으로 3일 천하로 마침 |
배경 : 동학농민군과 일본의 내정 개혁 요구 → 교정청 경과 : 1차 개혁(군국기무처) → 2차 개혁(홍범14조) → 을미개혁(단발령) |
내용 |
정치 : 대청 사대 외교 폐지, 입헌군주제로의 개혁 경제 : 지조법개혁, 재정일원화(호조) → 근대적 조세체제 사회 : 문벌 폐지, 인민 평등권 → 봉건적 신분제 개혁 |
정치 : 개국연호, 왕의 전제권 제한, 과거제 폐지, 사법과 행정 분리 경제 : 재정일원화(탁지아문), 은본위 화폐제도, 조세 금납화, 도량형 통일 사회 : 신분제 철폐, 조혼금지, 과부 재가 허용, 고문과 연좌법 폐지 |
의의 |
근대적 국민 국가 수립을 위한 최초의 정치 개혁 운동 갑오개혁ㆍ독립협회 활동ㆍ애국계몽운동으로 승계 |
개화세력과 동학농민층의 요구 반영, 조선의 개화파 관료들에 의해 자주적으로 추진된 봉건적 질서를 타파하는 근대적 개혁 |
한계 |
군사력 강화와 토지 개혁 소홀, 일본에 의존적 |
일제가 침략을 위해 강요한 개혁 민중과 유리된 개혁 결과 |
결과 |
개화세력의 도태, 청의 내정과 외교간섭 강화(고문정치) 일본과 한성 조약 체결, 청일의 텐진조약 |
을미의병 봉기와 아관파천으로 개혁 중단 군사 : 일본의 방해로 성과 없음 |
■ 동학 농민운동
배경 |
지배층의 수탈과 일본의 경제적 침투, 농촌 경제의 파탄, 동학의 교세 확장 |
전개 |
교조신원운동(삼례집회, 복합상소,보은집회) → 1차봉기(전주성 점령, 전주화략) → 집강소 설치(폐정개혁안 실천) → 2차 봉기(항일구국투쟁) |
의의 |
농민전쟁 : 동학의 평등사상과 포접제 조직 → 우리 나라 역사에서 가장 규모가 큰 농민운동(조직적 농민운동) 반봉건운동(제폭구민) : 노비문서 소각, 토지의 평균 분작 등 → 갑오개혁에 영향 반외세운동(보국안민) : 왜와 통한 자 엄징 → 잔여세력이 의병운동에 가담 |
한계 |
근대국가 건설을 위한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였고, 농민층 이외의 보다 넓은지지 기반을 확보하지 못함 |
■ 독립협회운동과 대한제국의 광무개혁
구분 |
독립협회운동 |
광무개혁 |
배경 |
러ㆍ일의 세력 균형 → 아관파천으로 나라의 권위 실추 |
고종의 환궁 → 칭제건원(국호를 대한제국, 연호는 광무) |
내용 |
자주국권운동 : 근대적 민족주의 사상, 열강의 침투 반대 자유민권운동 : 근대적 민주주의 사상, 국민 기본권 보장 관민공동회(헌의6조), 의회식 중추원 마련, 만민공동회 자강혁신운동 : 국력 배양의 근대화 사상 |
정치 : 대한국 국제 반포(1899) → 전제황권 강화 표방 경제 : 토지조사사업 실시(양지아문, 지계 발급), 황실 중심의 상공업 진흥책 (근대적 공장, 회사, 실업교육 기관 설립, 유학생 파견) |
의의 |
민중을 바탕한 국권수호, 민권신장에 기여한 근대화 운동 |
구본신참(복고주의, 점진적 개혁) → 근대적 시설 확충 |
한계 |
외세 배척운동이 주로 러시아를 대상(친미, 친영) |
집권층의 보수적 성향과 일본의 간섭으로 큰 성과 없음 |
■ 항일의병투쟁과 애국계몽운동
구분 |
항일의병투쟁 |
애국계몽운동 |
성격 |
위정척사운동 계승, 동학농민운동의 반외세 운동의 영향 |
개화자강계열운동 계승(갑신정변, 독립협회운동) |
주도세력 |
유생, 전직 관료 → 을사의병 이후 평민 출신 활약 |
개화 지식인 |
운동방식 |
무장 투쟁 |
실력 양성(교육과 산업 진흥, 독립운동 기지 건설) |
전개 |
을미의병 : 을사사변과 단발령 계기 평민의병 → 활빈당 활동 을사의병 : 을사조약 반대, 평민의병장 활약 정미의병 : 군대 해산 이후 의병전쟁으로 발전 서울진공작전 |
대한자강회 : 교육과 산업의 진흥, 대한협회로 계승 신민회 : 국권 회복과 공화국 건설 목표, 국외 독립운동기지 건설 추진 (독립운동의 장기적 기반 마련) |
의의 |
민족의 강한 독립 정신 표출 무장 독립 투쟁의 기반 마련 |
애국심과 근대의식 고취, 민족운동의 올바른 이념 제시 |
■ 열강의 경제 침탈과 경제적 구국 운동
열강의 경제 침탈 |
경제적 구국운동 |
개항 초기 일본 상인의 거류지 무역, 약탈ㆍ중개무역 → 임오군란 이후 일본상인과 청 상인 경쟁 → 청ㆍ일전쟁 이후 일본의 조선 무역 독점 제국주의 열강의 이권 침탈 (아관파천 이후 심화, 철도ㆍ광산ㆍ산림) 일본의 토지 약탈과 금융 지배(화폐정리사업) 차관 제공(일본의 경제적 예속화 정책) |
방곡령 시행 : 일본상인의 지나친 곡물 수매에 대항 → 절차상의 문제로 철회, 배상금 지급
독립협회의 이권수호운동(자주국권운동)
보안회의 황무지 개간권 반대 운동 국채보상운동(애국계몽단체의 모금 운동) |
■ 근대 문물의 수용
근대시설 |
언론 |
근대교육 |
국학 |
문예와 종교 |
철도, 전신은 외세 침략과 결부 |
한성순보(최초 신문) 독립신문(최초 일간지) 황성신문(장지연-구본신참) 제국신문(순한글) 대한매일신보(국채보상운동) |
개화운동 일환 → 애국계몽운동(근대학문교육, 민족의식 고취) |
국사(신채호, 박은식) 위인전, 국가흥망사 국어(주시경, 지석영) |
신소설, 신체시, 창가, 신극(원각사) 박은식(유교구신론) 한용운(조선불교유신론) |
■ 일제의 침략과 민족의 수난
시기구분 |
통치내용 |
경제수탈 |
식민지화 과정 (1904-1910) |
ㆍ러일전쟁 → 한일의정서(군사기지 사용권) → 1차 한일협약(고문정치) → 을사조약(외교권 피탈, 통감정치) → 정미 7조약(차관 정치, 군대 해산) → 기유약조(경찰, 사법권 박탈) → 경술국치(1910.8.29) ㆍ일제의 한국 지배권 인정 : 가쓰라ㆍ테프트밀약(일ㆍ미), 2차영일동맹, 포츠머스강화조약(러ㆍ일) | |
헌병경찰통치 (1910년대) |
ㆍ헌경경찰제, 태형제도, 105인사건 ㆍ언론ㆍ출판ㆍ집회ㆍ결사의 자유 박탈 ㆍ교원도 제복을 입고 칼을 착용 |
ㆍ회사령(허가제), 임업ㆍ광업ㆍ어업 등 산업 침탈 ㆍ토지조사사업 → 농민의 토지 강탈 → 기한부 계약 소작농화, 화전민, 노동자, 도시 빈민, 국외 이주 |
기만적 문화통치 (1920년대) |
ㆍ본질 : 친일파 양성을 통한 민족 분열책 ㆍ헌병경찰 → 보통경찰(4배) ㆍ문관총독 임명 가능(실제 임명 안됨) ㆍ한글신문 발행 허용(철저한 사전 검열 제도) |
ㆍ산미증산계획(증산량보다 많은 수탈량) ㆍ이중적 수탈(미곡+증산 비용) → 빈곤층 증가 ㆍ식량사정 악화 → 만주에서 잡곡 수입 |
민족말살통치 (1931-1945) |
ㆍ한국인을 침략전쟁에 동원 위해 황국신민화 강요 ㆍ한국어 사용, 한국사 교육 금지 ㆍ황국신민 서사 암송, 신사 참배 강요 ㆍ내선 일체 강조, 일본식 성명 강요 |
ㆍ대공황 극복을 위한 만주 침략 → 병참기지화 →1930년대 말 이후 전쟁 확대되면서 수탈 강화 ㆍ식량배급제, 전쟁 물자 공출 ㆍ징병ㆍ징용제, 정신대, 군대위안부 |
■3ㆍ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
주제 |
주요개념 |
주용내용 |
3ㆍ1운동이전의 민족운동(1910년대) |
국내항일비밀결사 |
ㆍ대한광복회(공화정, 군자금 모금), 독립의군부(복벽주의,의병), 송죽회(여성) |
국외독립운동기지 |
ㆍ대표적 기지 : 북간도(전체가 독립군 기지화), 삼원보, 한흥동, 신한촌 ㆍ민족학교 : 신흥학교(삼원보), 서전서숙ㆍ명동학교(북간도) ㆍ대한광복군정부 : 권업회 주도(1914), 임시정부 탄생의 실마리 | |
3ㆍ1운동 |
배경 |
ㆍ민족자결주의, 일본유학생의 2ㆍ8독립선언, 종교계를 중심으로 거족적 민족운동 준비 |
전개 |
ㆍ독립선언 → 도시로 확대(비폭력) → 농촌으로 확대(폭력적) → 국외로 확대 | |
의의ㆍ영향 |
ㆍ독립운동의 분수령, 민주공화제의 임시정부 탄생 계기 ㆍ중국의 5ㆍ4운동과 인도등 아시아 약소 민족해방운동에 영향 | |
대한민국임시정부 |
수립 |
ㆍ최초의 민주공화제, 여러 지역의 임시정부 통합(상하이) |
초기활동 |
ㆍ군자금 모집 : 연통제ㆍ교통국(비밀행정조직), 애국공채, 이륭양행, 백산상회 ㆍ외교활동 : 파리강화회의에 대표(김규식) 파견, 이승만의 구미위원부 ㆍ문화활동 : 독립신문 간행, 사료 편찬소 | |
분열 |
ㆍ무장투쟁론과 외교독립론의 갈등 → 국민대표회의 결렬 → 임시정부 침체 | |
6ㆍ10만세운동과 광주항일학생운동 |
6ㆍ10만세운동 |
ㆍ순종 인산일에 전개, 민족주의와 사회주의의 갈등 극복 계기, 동맹휴학 활성화 |
광주항일학생운동 |
ㆍ학생과 시민이 참여하여 전국적으로 전개, 3ㆍ1운동 이후 최대의 민족운동 |
■ 무장 독립운동의 전개
주제 |
주요내용 | |
의열투쟁 |
의열단 |
ㆍ박재혁(부산경찰서), 최수봉(밀양경찰서), 김익상(조선총독부), 김상옥(종로경찰서), 김지섭(일본 궁성), 나석주(동양척식주식회사) ㆍ조선혁명선언(신채호) : 의열단의 투쟁목표 제시, 민중 직접 혁명 자치론, 문화운론, 외교론, 준비론 비판 |
한인애국단 |
ㆍ이봉창(일본국왕 저격미수), 윤봉길(상하이 홍커우공원 의거, 침체된 임시정부의 활로 모색, 중국 국민당 정부의 임시 정부 지원 계기) | |
국내무장독립투쟁 |
3ㆍ1운동 직후 조직, 천마산대(평북), 보합단(평북), 구월산대(황해도) |
■ 일제의 침략과 민족의 수난
주제 |
주요내용 |
1920년대 독립전쟁 |
ㆍ배경 : 1910년대 만주ㆍ연해주에 독립군기지 건설, 3ㆍ1운동 이후 조직적 무장투쟁 필요성 절감 ㆍ(승리)봉오동전투(홍범도, 대한독립군), 청산리전투(김좌진,북로군정서) → (고난)간도참변, 자유시참변 → (재정비)3부의 성립(참의부, 정의부, 신민부 → 만주지역 동포 사회의 실질적 정부 역할) ㆍ3부 통합운동 : 혁신의회(→한국독립당), 국민부(→조선혁명당) |
1930년대 독립전쟁 일제의 만주침략에 맞선 한ㆍ중 연합군 결성 |
ㆍ조선혁명군(양세봉) - 영릉가전투ㆍ흥경성전투, 한국독립군(지청천) - 쌍성보전투ㆍ대전자령전투 ㆍ만주지역 항일 유격대 활동 : 동북항일연군(보천보전투,1937), 조선광복회 결성 ㆍ중국 관내 : 조선민족혁명당(1935,난징), 조선의용대(→조선의용대 화북지대의 호가장전투,1941) |
1940년대 독립전쟁 대한민국임시정부와 한국광복군 |
ㆍ좌ㆍ우 통합 임시정부 탄생 : 조선민족혁명당 인사들의 임시정부 참여, 조선의용대 지도부의 광복군 합류 ㆍ한국광복군 창설(충칭,1940) → 대일선전포고(1941) → 인도, 미얀마 전선 파견 → 국내진공작전 ㆍ조선독립동맹(김두봉)과 조선의용군 : 중국공산당과 화북지방을 중심으로 활동 |
■ 사회ㆍ경제적 민족운동
주제 |
주요개념 |
주요내용 |
사회적 민족운동 |
사회주의의 수용 |
ㆍ3ㆍ1운동 이후 수용 → 청년ㆍ학생운동, 노동운동, 농민운동의 활성화에 기여 ㆍ무산계급의 해방을 주장하여 민족주의 운동과 갈등 초래 |
민족유일당운동 (신간회) |
ㆍ비타협적 민족주의계+사회주의계 → 신간회 창립(자치론 등 기회주의 배격) ㆍ전국에 지회 설치, 대중적 정치운동 전개 → 일제의 탄압, 사회주의계 이탈로 해산 | |
실력양성운동 (민족의 근대적 역량 배양 노력) |
ㆍ신교육 운동 : 민립대학 설립운동, 사립학교, 야학, 개량 서당 설립 ㆍ민족자본 육성 : 민족기업 설립, 물산장려운동(국산품 애용) ㆍ생ㅎ뢀 개선, 구습 타파 : 문맹퇴치, 농촌계몽운동(브나로드운동, 문자보급운동) | |
농민ㆍ노동운동 |
소작쟁의 |
ㆍ농민의 생존권 투쟁 → 항일 민족 운동으로 변화, 암태도와 재령의 동양척식주식회사 농장 소작쟁의 |
노동쟁의 |
ㆍ노동자들의 생존권 투쟁(합법투쟁) → 반제국주의 항일 민족 운동(지하조직화), 원산노동자총파업(1929) | |
국외 이주 동포의 활동 |
ㆍ만주 : 항일 민족 운동의 거점, 간도참변(1920) ㆍ연해주 : 13도 의군(1910), 권업회(1911), 대한광복군정부(1914), 한인동포 중앙아시아 강제 이주(1937) ㆍ일본 : 2ㆍ8독립선언, 관동대지진 때 한국인 학살(1923), 1930년대 이후 노동 이주, 징용으로 끌려감 ㆍ미주 ; 대한인 국민회(1910) → 독립자금 모금 |
■ 민족 문화 수호 운동
주제 |
주요개념 |
주요내용 |
식민지문화정책 |
황국신민화교육 |
ㆍ일제에 순응하는 노예적 국민 양성, 초등교육ㆍ초보적 실업교육 중점, 고등교육 기피 |
식민사관 |
ㆍ일제의 침략과 식민지배 합리화, 타율성론ㆍ정체성론 날조, 일선동조론, 조선사 편수회 | |
종교탄압 |
ㆍ천도교ㆍ대종교 크게 탄압, 불교 탄압(사찰령), 개신교 탄압(안악사건, 105인 사건) | |
국학운동 |
한글연구 |
ㆍ조선어 연구회 → 조선어학회 - 한글날 제정, 우리말 큰사전 편찬 준비, 조선어학회 사건 |
국사연구 (민족사관) |
ㆍ민족주의 사관 : 민족사의 자주성ㆍ주체성 강조 - 박은식(조선혼), 신채(낭가사상), 정인보(얼) ㆍ실증사관(진단학회), 사회ㆍ경제사관(백남운,유물사관에 바탕) | |
교육ㆍ종교활동 |
민족교육 |
ㆍ식민지 교육에 저항(사립학교, 개량서당,야학 설립), 조선교육회(민립대학 설립운동) |
종교활동 |
ㆍ천도교(3ㆍ1운동에 중추적 역할), 대종교(중광단→북로군정서), 원불교(개간사업,저축운동) ㆍ개신교(신사참배 거부), 천주교(의민단), 불교((한용운, 불교정화운동) | |
문화ㆍ예술활동 |
문학 |
ㆍ계몽문학(1910년대) → 사실주의,신경향(20년대) → 순수문학(30년대) → 암흑기(40년대) ㆍ저항문학(한용운, 이육사, 윤동주) ↔ 친일문학(이광수,최남선 등 많은 문인이 변절) |
예술 |
ㆍ영화(나운규의 아리랑), 연극(토월회, 극예술연구회), 음악(안익태, 홍난파), 미술(이중섭, 안중식) |
■ 광복 진전의 건국준비 활동
구분 |
대한민국임시정부 |
조선독립동맹 |
조선건국동맹 |
활동 |
한국독립당(민족주의계열) 중심 → 조선민족혁명당 인사 참여 (사회주의 계열) → 조선독립동맹과 통합 시도 |
1942년 중국화북지방에서 김두봉을 주석으로 결성(사회주의 계열) → 조선의용군을 두어 중국공산당과 항일 투쟁 전개 |
1944년 8월 여운형 등이 조직 (민족주의자와 사회주의가 함께 참여) |
건국 구상 |
조소앙의 삼균주의를 기초로 건국강령(1941) → 정치적 균등(보통선거), 경제적 균등(토지와 대생산 기관 국유화), 교육적 생산(의무교육) |
보통선거에 의한 민주정권 수립, 일제의 자산과 토지 몰수, 8시간 노동제, 의무ㆍ무상교육 |
일제의 타도, 민주주의 원칙에 의거하여 노동자ㆍ농민 해방에 치중 |
공통점 |
민족주의 게열과 사회주의 계열의 독립운동가 모두 민주주의 국가 건설 추구 |
■ 8ㆍ15 광복과 대한민국의 수립
구분 |
남부지역 |
북부지역 | |
정치 |
경제 | ||
1945 |
조선건국준비위원회 (→조선인민공화국 선포), 미군 군정 실시 (인민공화국과 임시정부 불인정) 모스크바 3국 외상회의 - 신탁통치 결정 |
ㆍ미 군정청의 친일 관료ㆍ경찰 등용, 영어 공용화 → 친일파 청산 실패, 미국 문물 유입 ㆍ일본인의 철수, 북한의 전력 공급 중단, 해외 동포들의 귀국, 화폐 초과 발행 → 경제 혼란 ㆍ미 군정청 공산당 탄압(→공산당 반발), 노동자파업, 농민시위 → 사회 혼란 |
각지에 건국 준비 조직 결성 → 소련군의 지시에 따라 좌ㆍ우 합작의 인민위원회로 개편 |
1946 |
제1차 미소공동위원회 결렬 → 이승만의 정읍 발언 → 좌ㆍ우합작위원회(여운형,김규식) |
북조선 임시인민 위원회 구성 (중앙 행정 기구) → 토지개혁, 산업국유화, 남녀 평등법 | |
1947 |
제2차 미소공동위원회 결렬과 여운형 암살 → 미국이 한국문제를 유엔총회에 상정 |
북조선 인민위원회 수립(사실상의 정부) | |
1948 |
김구ㆍ김규식의 남북 협상 제의 → 제주 4ㆍ3사건 → 5ㆍ10 총선거 → 대한민국 수립 선포(8ㆍ15) |
조선 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수립(9.9), 남로당과 북로당이 조선노동당으로 통합 |
■ 이승만 정부와 4ㆍ19 혁명
구분 |
정치 |
경제ㆍ사회ㆍ문화 |
남북관계 |
반민특위와 농지개혁 |
제헌국회의 반민족 행위 처벌법 제정(48) →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위원회의 친일파 체포 → 이승만 정부의 방해 공작과 친일파의 방해로 좌절(49) → 친일파 청산이라는 민족적 과제 해결 실패 |
ㆍ농지개혁 : 광복후의 가장 중요한 과제 → 북한의 토지개혁 → 농지개혁법 제정(1949) → 유상매수, 유상분배 원칙 |
북한의 남침 준비 (소련과 중국의 원조) |
6ㆍ25전쟁 |
ㆍ배경 : 중국공산화, 주한미군 철수, 미국 애치슨선언 ㆍ전개 : 북한 남침 → 유엔군 참전 → 인천상륙작전 → 중국국 개입 → 휴전 협상(이승만 반대) → 협정 체결(1953.7.27) ㆍ피해 : 약500만명의 사상자, 사업시설 파괴 |
ㆍ사회 변동 : 수백만의 월남, 농촌인구의 도시 이동 → 전통적 사회 구조 붕괴 ㆍ서구 대중 문화의 무분별한 유입 → 전통문화 경시 풍조 |
미ㆍ소의 냉젅 격화, 남북간의 적대감 심화, 남북한에서 독재 강화 |
이승만정부의 독재화 |
ㆍ발췌개헌(1952) : 이승만 정부 실정 → 국민 지지 상실 → 군ㆍ경과 폭력단을 동원한 대통령 직선제 개헌 통과 ㆍ사사오입 개헌(1954) : 장기집권을 위해 3선 금지 조항 폐지 개헌 편법 통과 ㆍ독재 강화 : 장면 피습, 진보당 조봉암 처형 |
ㆍ전후 복구 : 국민과 정부의 노력, 미국의 원조(면화, 밀가루 등 소비재산업 원료) → 삼백산업 발달 ㆍ미국의 경제 원조의 영향 :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, 농업기반 파괴 |
북진통일론(이승만) ↔ 미군 철수를 전제로한 남북한 총선거(김일성) |
4ㆍ19혁명 (1960) |
ㆍ배경 : 미국의 경제 원조 축소로 경기 침체, 3ㆍ15 부정 선거 ㆍ경과 : 마산시위(김주열 시신 발견) → 시위 확산 → 경찰 발포 → 교수단 시위 → 이승만 하야 ㆍ의의 : 학생과 시민들의 힘으로 이룬 아시아 최초의 민주혁명 |
북한의 연방제 통일 방안 제시 | |
장면내각 |
허정 내각 정부의 내각 책임제 개헌 → 장면을 총리로 하는 민주당 내각 성립(1960) → 당내의 세력 다툼으로 분열 → 5ㆍ16군사 정변으로 붕괴 |
경제개발 5개년 계획 수립 → 5ㆍ16 군사정변으로 실행 못함 |
유엔 감시하의 남북한 총선거 제의 (대화에는 소극적) |
■ 5ㆍ16 군사정변과 유신 체제
구분 |
정치 |
경제ㆍ사회ㆍ문화 |
남북관계 |
5ㆍ16군사정변 |
ㆍ발생 : 박정희 등이 국가 재건회의를 구성하여 군정 실시 ㆍ경과 : 대통령제ㆍ단원제 헌법 제정 → 박정희 당선 |
ㆍ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발표(1962) |
반공을 국시로 함 |
박정희정부의 수립 |
ㆍ한ㆍ일 국교 정상화(1965) : 미국의 수교 요구, 경제 개발에 필요한 자금 확보를 위해 추진 → 6ㆍ3 사태 ㆍ베트남 파병 (65-73) : 미국의 경제 군사 원조 ㆍ3선 개헌 : 재선 후 장기 집권을 위한 포석 |
ㆍ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(경제제일주의 정책) → 경공업 중심의 수출 주도형 성장 전력 → 빈부 격차, 외채 급증, 대외 의존 심화 |
ㆍ멸공ㆍ승공 통일 주장 |
유신체제 (1972-1979) |
ㆍ배경 : 냉전체제 완화, 경제 불황으로 국민불안 고조 ㆍ유신헌법 : 대통령의 중임 제한 폐지, 대통령이 국회의원 1/3 임명, 국회해산권과 법관 인사권 장악, 긴급조치권 ㆍ붕괴 : 국민의 저항에 탄압 → 부ㆍ마항쟁 → 10ㆍ26 |
ㆍ3ㆍ4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: 재벌중심으로 수출 주도형 중화학 공업 육성 → 산업 구조 고도화 |
ㆍ7ㆍ4남북공동성명 (1972) ㆍ평화통일 3대 기본원칙(1974) |
■ 민주주의의 시련과 발전
구분 |
정치 |
경제ㆍ사회ㆍ문화 |
남북관계 |
5ㆍ18민주화 운동(1980) |
ㆍ배경 : 전두환, 노태우 등의 신군부 세력이 일부 병력을 동원하여 군권 장악(79.12.12) → 서울의 봄(80.5) → 신군부의 계엄령 전국 확대 실시(80.5.17), 정치활동 금지 및 민주화 운동 무력 진압 ㆍ전개 : 광주에서 민주화 시위 전개(5.18) → 계엄군의 발포 → 시민군의 광주 장악 → 게엄군의 무력 진압(5.27) ㆍ의의 : 1980년대에 전개된 민주화 운동의 바탕이 됨 | ||
전두환정부 (1981-1988) |
ㆍ성립 : 신군부가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(국보위) 구성하여 정권 장악 → 언론 통폐합, 삼청교육대 → 간선제 헌법 제정 → 전두환 대통령 선출(81) ㆍ강압정치 : 민주화 운동과 야당 탄압, 언론 통제(보도지침) |
중화학 공업에 대한 과잉 투자와 제2차 석유 파동(78) → 경제위기 → 저유가, 저금리, 저달러의 3저 호황(80년대 중반) |
ㆍ남한 : 민족화합 민주통일 방안(1982) ㆍ북한 : 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 방안 (1980) |
6월민주항쟁 (1987) |
ㆍ배경 : 정통성과 도덕성을 상실한 전두환 정부에 대한 국민 저항 → 민주화운동 전개 → 야당ㆍ재야 직선제 개헌운동 ㆍ전개 : 박종철 고문 치사사건 → 4ㆍ13호헌 → 호헌철폐운동 → 범국민적 반독재 민주화운동으로 발전 → 6ㆍ29선언 ㆍ의의 : 4ㆍ19 혁명 이후 가장 규모가 큰 민주화 운동 | ||
노태우정부 (1988-1993) |
ㆍ성립 : 야당 후보 분열로 당선, 북방정책(소련ㆍ중국과 수교) ㆍ여소야대의 국회 : 최초로 야당이 다수당이 됨 → 3당 합당으로 거대 여당인 민주자유당 출현 |
80년대 후반 3저 호황이 끝나면서 경기 불황, 6월 민주항쟁 이후 노동운동 확산 |
ㆍ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(1991) ㆍ남북 기본 합의서(1991) |
김영삼정부 (1993-1998) |
ㆍ성립 : 여당인 민주자유당의 김영삼 후보 당선 ㆍ개혁정책 : 금융실명제, 지방자치제 전면 실시, 역사 바로세우기(전두환ㆍ노태우 구속, 옛 조선총독부청사 철거) ㆍ외환 위기 : 국제 통화기금(IMF)의 구제 금융 |
경제협력개발기구(OECD) 가입 → 무역적자, 금융기관 부실, 재벌의 방만한 기업 운영 → 외환 위기 |
ㆍ한민족공동체 건설을 위한 3단계 통일방안(1993) ㆍ남북정상회담 개최 합의(1994) |
김대중정부 (1998-2003) |
ㆍ성립 : 야당후보인 김대중 후보 당선 → 최초의 평화적 정권 교체 ㆍ정책 : 대북 화해 협력 정책 |
신자유주의 정책을 바탕으로 구조 조정 → 외환 위기 극복 |
남북정상회담 (2000. 6ㆍ15 남북공동선언) |
■ 6ㆍ25 전쟁 이후의 북한의 변화
구분 |
정치 |
경제ㆍ사회ㆍ문화 |
김일성 유일 체제의 구축 |
ㆍ독재강화 : 남로당 출신의 국내파 제거 → 연안파와 소련파 제거 ㆍ유일지배체제의 구축 : 주체사상의 유일사상화 → 사회주의 헌법을 계승하여 김일성 독재 제도화(1972) |
ㆍ전후 복구와 사회주의 경제 건설(50-60년대) : 중공업 우선 정책 → 협동농장화, 천리마운동 ㆍ경제적 위기(70-90년대) : 자본부족과 기술 낙후, 철저한 계획경제와 지나친 자립 정책, 군사비 부담 ㆍ경제개방정책 : 80년대 말부터 경제위기와 식량난 극복을 위해 제한적 경제 개방 정책 실시 → 경제특구 설치, 경제 외교 본격화, 금강산 관광 |
김정일의 권력 승계 (1994) |
ㆍ김정일 후계 체제 : 권력강화(70년대) → 권력의 세습 추진(80년대) → 김일성 사후 권력 승계(1994) → 국제적 고립 탈피와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미ㆍ일ㆍ남한과의 관계 개선 시도 → 내부적으로 ‘우리식 사회주의’를 내세워 단합 도모 |
'역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삼국시대 꽃미남 단체, '화랑(花郞)' (0) | 2017.01.03 |
---|---|
국립고궁박물관 특별전 '조선 궁궐을 짓다' (0) | 2016.12.09 |
한국 근현대사 연표정리(1) (0) | 2016.12.08 |
한일합병 및 식민통치의 실상 (0) | 2016.10.06 |
한국의 세계문화유산 (0) | 2016.09.22 |
댓글